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FOMC3

FOMC 회의록 공개, 원-달러 환율 1200원 돌파 미국은 조기긴축, 환율 상승 안녕하세요. 소배이입니다. 오늘 17개월 만에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을 돌파했습니다. 미국의 지난 FOMC 회의록이 공개되며 나스닥은 3.34%, S&P500은 1.94%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그 영향으로 국내 코스피 1.13%, 코스닥 2.90% 하락마감 했습니다. 지난 21년 12월 FOMC 직후 나온 인터뷰보다 더 매파적인(긴축적인) 내용이 회의록에 담겨있어 환율 상승을 불러왔습니다. 보유하고 있던 달러 현금을 일부 환전할 시점이 다가온 것 같습니다. 환율 상승은 미국 주식 하락을 방어하는 든든한 지원군입니다. FOMC 회의록 주요 내용 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 긍정적 경제 전망 높고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대차대조표 축소는 미국 연준이 매수한 채권을 시장에 다시 팔.. 2022. 1. 6.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급등에 따른 FOMC 회의 예상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9.6% 안녕하세요. 소배이입니다. 미 노동부에서 발표한 11월 생산자물가 지수가 9.6%로 월스트리트에서 예측한 9.2%를 상회했습니다. 여기서 잠깐, 저와 같은 주린이를 위해 생산자물가 지수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PPI)란?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생산자+물가+지수 이렇게 3개의 단어를 합쳐놓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생산자(Producer)가 필요로 하는 물건 등을 구매하는데 드는 비용(Price)을 지수로 나타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수가 상승하면 과거에 비해 물가가 올랐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반대로 지수가 하락하면 과거에 비해 물가가 내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생산자가 물건을 만드는데 비용이 상승했다면, 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 2021. 12. 15.
미국 인플레이션 39년 만에 최고치, 과연 연준의 반응은? 39년 만에 인플레이션 최고치 안녕하세요. 소배이입니다. 지난 금요일 뉴스에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39년 만에 최고치에 도달했다고 나왔습니다. 미국의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11월 인플레이션은 6.8%로 1982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다음 주에 있을 FOMC를 앞두고, 이렇게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시장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S&P500은 신고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S&P500은 신고가를 갱신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금요일 0.95% 오른 4,712.02의 종가를 기록하며 신고가를 갱신했습니다. 이 전에 11월 22일 날, 장중에 4,743까지 상승했지만, 종가 기준으로는 지난 금요일이 신고가입니다. 돌아오는 14,15일 Fed(미국 연방준비제도)의 .. 2021. 12.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