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동향

애플, 시가총액 3조 달러 시대 열다.

by 소배이 2022. 1. 4.
728x90
반응형

애플, 시가총액 3조 달러 돌파

안녕하세요. 소배이입니다.

애플이 장중에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돌파하며 역사상 첫 3조 달러를 달성한 기업으로 이름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애플이 2조 달러를 돌파한지 약 16개월 만에 벌어진 일입니다. 16개월만에 50%가 오른 셈이네요.

애플의 주가가 끝없이 오르며 S&P500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를 넘겼습니다.

애플이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돌파한 비결은?

다들 잘 아시겠지만, 애플은 튼튼한 소비층을 바탕으로 성장해왔습니다. 매출 구성이 하드웨어 판매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판매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래 산업으로 자율주행과 애플카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어 주식 매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 원인으로 CNBC에서 뽑은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자사주 매입&배당

애플은 21년도에만 855억 달러의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145억 달러를 배당금으로 지급했습니다.

지난 10년간 애플은 자사주 매입을 통해 총 4,670억 달러 이상을 지출했습니다. 이렇게 주주 친화적 정책을 펴고 있으니, 주가 하락은 작고 상승은 큰 폭으로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잠깐, 주린이들을 위해 자사주를 매입하면 왜 주가가 오르는지 확인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자사주 매입의 연쇄반응

자사주 매입 ->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수 감소 = 주식의 가치 증가

주식의 가치가 증가하는 이유는 EPS, 즉 주당 순이익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주당 순이익 = 이익/발행주식수 공식인데, 여기서 분모인 발행주식이 낮아지니 EPS가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또한 EPS의 변화로 PER(주가 수익비율)이 낮아지는 효과도 생깁니다.

2개의 지표가 변화하는 모습을 단순하게 바라보면,

EPS가 높아진다 -> 호재

PER가 낮아진다 -> 호재

이렇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배당으로 주지 왜 자사주를 매입하는지 궁금하실 수 있는데, 배당으로 지급한다면 기업과 주주가 모두 배당세를 내야 하기 때문에 배당보다는 자사주 매입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애플,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까?

기업의 흥망은 언제 어떤 식으로 다가올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옛날에 GE가 미국을 대표하던 기업이었고, 엑슨모빌도 한 자리했던 기업이었던 것처럼 애플이 언제까지 왕관을 쓰고 있을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현재 애플의 든든한 현금 보유량과 계속해서 들어오는 현금을 생각하면, 한 동안은 애플이 왕관을 쓰고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애플은 지금 보유한 현금으로 매년 4%씩 자사주 매입을 하면 26년까지 자사주를 매입할 수 있는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어마어마한 현금 보유량이죠. 이 현금을 바탕으로 R&D에 투자한다면, 어떤 분야를 해도 상위권에 안착할 수 있을 자본이라고 생각됩니다.

 

애플의 뒤를 이어 시총 3조 달러를 돌파할 기업은 어디일지, 궁금합니다.

그럼 소배이는 다음에 다시 올게요.

 

*해당 포스트는 소배이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특정 종목의 투자 추천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